2009. 10. 18. 15:40
물리치료의 이론적 모델
2009. 10. 18. 15:40 in 과학으로서의 물리치료
1. Hislop의 개념적 모델(conceptual model)
병리운동학(pathokinesiology)과 운동기능부전(movement dysfunction) 모델
2. 물리치료의 기능적 모델(functional model) 병리운동학적 모델(pathokinesiology model)의 대안적인 물리치료의 광의의 이론(grand theory)
이 모델의 아래 세 단계는 Hislop의 모델과 동일하다. 이 기능적 모델의 차이점은 운동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기능적인 문제를 중요시하며, 이 기능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물리치료가 요구된다는 모델이다. 이 모델에서는 운동(motion)보다는 기능을 극대화하는 것이 더 높은 수준의 목표가 된다는 특성을 갖는다. ※ 참고문헌: 권오윤 등. 최신물리치료학개론. 탑메디오피아. 2003
'과학으로서의 물리치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ow to Read a Paper (0) | 2009.11.09 |
---|---|
PubMed 개편 안내 (0) | 2009.11.09 |
물리치료학의 역사 (0) | 2009.10.18 |
물리치료(physical therapy)의 정의 (3) | 2009.10.18 |
Physical therapy From Wikipedia (0) | 2009.05.12 |